728x90
반응형
tty는 콘솔 로그인 정보 / pty, pts는 원격을 통한 로그인 정보를 의미
◆ tty
- 전신 타자기에서 유래된 이름 Tele Type writer의 약자
- tty는 리눅스 디바이스 드라이브 중 콘솔이나 터미널을 의미
- 여러 개의 콘솔로 1개의 리눅스에 접근할 수 있으며, 2번째부터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 콘솔이므로 Pseudo(가상)라고 부른다.
- tty0, tty1, tty2, ... , tty6까지 사용 가능하며 tty7의 콘솔부터는 X-window환경을 말하지만 tty가 아닌 pts로 부른다.
◆ pty
- Pseudo Terminal라는 가상 tty라는 의미로 pty라 한다.
- 가상 터미널 환경
◆pts
- Pseudo Terminal Slave라는 의미
- 원격 터미널 환경
◆ tty, pty, pts 설정
▷ cp /etc/securetty /etc/securetty.bak
securetty 파일 백업본 생성
▷ vi /etc/securetty
pty, pts 사용시 추가 필요.
> pts 추가
추가 용어)
CLI - Command Line Interface로 명령어 기반의 텍스트 입출력 인터페이스
Terminal - 서버의 로컬 또는 원격으로 접속할 수 있는 콘솔 구현 소프트웨어
Shell - 명령어를 해석하여 전달해주는 소프트웨어
Console - 서버의 로컬 장치에서 직접 명령어를 작성하는 입출력 장치
728x90
'*Server 구축 > [ ce ] Cent OS 6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ce-06] SSH 서버 구축 (xinetd) (0) | 2019.04.19 |
---|---|
[ce-05] xinetd 설정 파일 (0) | 2019.04.19 |
[ce-03] Telnet 서버 구축 (xinetd) (0) | 2019.04.18 |
[ce-02] Cent OS 최초 실행 시 데몬(xinetd) 설치 (0) | 2019.04.17 |
[ce-01] Cent OS IP 설정 (0) | 2019.04.16 |